'디지로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6.05.15 디지로그 서평 1
  2. 2006.05.15 [summary] 디지로그

디지로그 서평

웹기획 2006. 5. 15. 14:04

디지로그
이어령/ 생각의 나무

한때 MP3시장을 호령하던 아이리버의 현재 모습을 보면서
오늘날의 시장이 얼마나 변화무쌍하고 냉혹한 곳인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사실 아이리버가 못했다기 보다는 애플이 너무 잘했다.
아이포드는 단순한 MP3기기를 넘어서 하나의 문화코드로 자리잡았으므로
아이리버는 사실상 제대로 된 경쟁을 해볼 수 있는 기회마저 상실했다는 편이 옳다.
왜일까?

평범한 일상속에서
시대의 어제와 오늘을 읽어내는데 탁월한 시각을 제시해왔던 이어령씨의 책을 보면서
애플의 아이포드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훌륭한 디자인을 넘어선 디지털의 아날로그적인 해석
(휠을 돌리는 작동방식, 흰색의 본체와 이어폰 자체가 악세서리화, 문화코드화 된 점 등...)
그것이 아이포드 신화를 만들어낸 것이고
사실상 그것은 '디지로그'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물론 아이리버도 'U10'이라는 제품으로 이러한 도전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다만... 너무 늦었을 따름이다.

가끔씩 등장하는 논리의 비약이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단순한 기술발전의 시각이 아닌
한국인이 가진 유전적인, 문화적인 특성들속에서
미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그의 책은
꼭 한번은 읽어둘만한 지혜를 우리에게 던져준다.

답보다는 질문이 많아진다는 부작용이 있지만 말이다^^

Posted by 박요철
,

[summary] 디지로그

웹기획 2006. 5. 15. 13:49

디지로그
이어령/ 생각의 나무

* 젓가락이 상호의존성과 관계를 중시하는 배려의 정신에서 나온 것이라면 포크와 나이프는 개체의 분리를 기본으로 하는 독립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사실 근대의 개인이 출현하기 전까지는 서양 사람들도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지 않았다. 52p.

* 우리에게 지금 시급한 과제는 정보기술 이상으로 무엇을 위한 정보냐 하는 정보 콘텐츠의 목적이다. 54p.

* 그렇게 실컷 말하고도 직접 만나서 할 이야기가 또 있다는 말인가. "만나서 직접 말하겠다는 그 자세한 말"이란 다름 아닌 전화로는 나누기 힘든 '정'의 말인 것이다. 얼굴을 맞대고 직접 말과 마음을 주고받는 '페이스 투 페이스'가 정보통신 시대에는 어려워진다. 55p.

* 정보의 최종가치는 정보 자체의 품질보다는 그것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로 결판이 난다. 물질로 된 제품은 품질로 승부를 한다면 정보통신은 믿음으로 승패가 결정난다. 56p.

* 극단적으로 휴대전화의 소유자는 과연 누구인가? 쌍방향 정보통신은 소유 자체의 모델을 바꿔놓았다. 자기 것이라도 남이 걸어 사용하면 그 사람 것이기도 하다. 정보기술은 우리 생황의 약식을 크게 바꿔 놓았지만, 가장 중요한 변화는 인류가 생겨나고 수십만년 내려온 그 소유의 모델을 바꿔놓았다는 점이다. 60p.

* 소유보다 접속이 더 중시되고 있는 사회에서는 사용권이 소유권보다 더 널리 행사되고 있어서 보이지 않는 지적재산이 물재의 가치를 능가하는 경우가 많다. 71p.

* 휴대전화처럼 여러 다른 기능을 한데 모으는 컨버전 기술 자체가 이미 구식이다. 이제는 애플의 아이포드가 모토로라의 휴대전화와 연계하고, 아노토 펜이 노키아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얼라어언스 제품이 등장한다. 디지털 카메라에 필름을 돌리고셔터 소리가 울리도록 하는 얼라이언스 제품이 등장한다. 73p.

* 정보기술(IT)을 새 패러다임으로 비유하자면 그것은 액체도 고체도 아닌 '공기'라고 말할 수 있다. 공유는 해도 독점할 수는 없는 것이 공기이며 지식이다. 사용을 해도 없어지지 않고 순환하는 것 또한 공기의속성이며 정보의 특성이다. 그러므로 '가치'는 있는어도 '가격'은 없는 것이 공기이며 지식정보다. 131p.

* 리눅스의 동기는 돈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함께 사용하고 참여하는 기쁨에 있다. 정보의 특성을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라 '보람', '존경', '감사', 그리고 '감동'과 같은 삶의 즐거움을 획득하는 무상의 행위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리눅스 모델은 단순한 자선적인 도덕심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 발신권과 수신권을 동시에 행사하는 상호의존관계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정보기술의 산물이라고 보는 편이 옳다. 134p.

*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서로 동석할 수 없는 불구대천의 원수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한국인은 하나 아니면 전체인 외톨이문화도 집단문화도 아닌 짝(쌍)의 시스템으로 생활해왔다. 151,2p.

Posted by 박요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