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휴가를 냈다.
몸의 모든 에너지가 방전된 기분,
월요일 출근해서 하루 종일 집중 못하고 헤매다가 덜컥 연차를 쓰고 원없이 쉬었다.
오후 느즈막히 일어나 정말로 몇달만에 영화를 보고,
아쉬운 마음에 서점으로 가 당기는 책 몇권을 읽고 돌아왔다.
사는 것 같다.
살아 있는 것 같았다.
우리 와이프의 절대적인 신뢰와 존경, 부러움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시골의사 박경철씨의 새 책이 나왔다.
대부분 말기 암환자의 얘기들인데 그 사연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애달파서 책 읽는 내내 계속 읽어야 하나 하는 질문을 쉴 수 없었다.
그런 기분을 읽기라도 한 것일까?
이야기 하나하나는 아쉽다 싶을 정도로 짧게 짧게 읽힌다.
그래서 세번째 장을 넘기면 1/5 정도 책장을 채운게 마치 DVD의 보너스트랙같다.
짧아도 아쉽지 않은 묘한 책읽기의 경험이었다.
삶은 참 공평하지 않고,
삶은 참 고달프다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만약 내가 크리스천이 아니었다면,
그래서 다음 세상에 대한 기대가 없었다면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요즘처럼 교회가 욕 먹는 시절이 또 있을까 싶은 시절에 위험한 발언인지 모르겠지만
하나님없이 사는 사람들이 조금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그 다음 읽은 책은 '해피어'.
이 책을 읽다보면 익숙한 이름들이 여럿 나온다.
마틴 셀리그먼,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
세상은 여전히 '성공'과 '행복'이 화두다.
그리고 그 행복학의 정점에 '긍정 심리학'이 우뚝 솟아있다.
기존의 행복 관련 서적들이 사례와 예화를 근간으로 했다면
이 책이 나온 배경이 하버드대의 한 강의였다는 점이 말해주듯이
학문적인 배경을 근거로 익숙한 이야기들을 다시 한번 곱씹어 주는 책이다.
그래서 관련 책들을 여러번 읽은 나로써는 새로운 감흥은 약한 책이었다.
그래도 굳이 한 권을 소장해야 한다면 이 책도 그 후보가 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이다.
한껏 우울한 기분으로 서점을 들어섰다가
다시 반쯤 충전된 기분으로 서점을 나왔다.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또 실망하듯이
책읽기가 행복이나 성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다만 위로나 격려, 새로운 희망을 얻는다.
그 이상을 기대하는 것은 욕심이다.
왜냐하면 아무리 위대한 책도 사람도 내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아담과 이브에게 '선악과'를 먹을 수 있는 자유마저 허락한 것도
시험이라기보다는 지극한 사랑에 가깝다.
혼자 사고하고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는 것,
그것이 때로는 엄청난 파국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이러한 선택의 자유는 명백한 인간만의 특권이다.
다만 안타까운 건 여전히 베스트셀러 언저리만을 돌고 있는 내 책 읽기의 편협함이다.
많이 깊이 읽어야 선택의 범위도 넓어질텐데
어제도 어렵게 어렵게 얻은 두어시간의 자유시간을 쏟아부은 터라...
이제 다시 책을 읽어야겠다.
많이 보다는 깊이...
몸의 모든 에너지가 방전된 기분,
월요일 출근해서 하루 종일 집중 못하고 헤매다가 덜컥 연차를 쓰고 원없이 쉬었다.
오후 느즈막히 일어나 정말로 몇달만에 영화를 보고,
아쉬운 마음에 서점으로 가 당기는 책 몇권을 읽고 돌아왔다.
사는 것 같다.
살아 있는 것 같았다.
![]() |
착한 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 - ![]() 박경철 지음/리더스북 |
우리 와이프의 절대적인 신뢰와 존경, 부러움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시골의사 박경철씨의 새 책이 나왔다.
대부분 말기 암환자의 얘기들인데 그 사연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애달파서 책 읽는 내내 계속 읽어야 하나 하는 질문을 쉴 수 없었다.
그런 기분을 읽기라도 한 것일까?
이야기 하나하나는 아쉽다 싶을 정도로 짧게 짧게 읽힌다.
그래서 세번째 장을 넘기면 1/5 정도 책장을 채운게 마치 DVD의 보너스트랙같다.
짧아도 아쉽지 않은 묘한 책읽기의 경험이었다.
삶은 참 공평하지 않고,
삶은 참 고달프다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만약 내가 크리스천이 아니었다면,
그래서 다음 세상에 대한 기대가 없었다면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요즘처럼 교회가 욕 먹는 시절이 또 있을까 싶은 시절에 위험한 발언인지 모르겠지만
하나님없이 사는 사람들이 조금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 |
해피어 - ![]() 탈 벤 샤하르 지음, 노혜숙 옮김/위즈덤하우스 |
그 다음 읽은 책은 '해피어'.
이 책을 읽다보면 익숙한 이름들이 여럿 나온다.
마틴 셀리그먼,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
세상은 여전히 '성공'과 '행복'이 화두다.
그리고 그 행복학의 정점에 '긍정 심리학'이 우뚝 솟아있다.
기존의 행복 관련 서적들이 사례와 예화를 근간으로 했다면
이 책이 나온 배경이 하버드대의 한 강의였다는 점이 말해주듯이
학문적인 배경을 근거로 익숙한 이야기들을 다시 한번 곱씹어 주는 책이다.
그래서 관련 책들을 여러번 읽은 나로써는 새로운 감흥은 약한 책이었다.
그래도 굳이 한 권을 소장해야 한다면 이 책도 그 후보가 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이다.
한껏 우울한 기분으로 서점을 들어섰다가
다시 반쯤 충전된 기분으로 서점을 나왔다.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또 실망하듯이
책읽기가 행복이나 성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다만 위로나 격려, 새로운 희망을 얻는다.
그 이상을 기대하는 것은 욕심이다.
왜냐하면 아무리 위대한 책도 사람도 내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아담과 이브에게 '선악과'를 먹을 수 있는 자유마저 허락한 것도
시험이라기보다는 지극한 사랑에 가깝다.
혼자 사고하고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는 것,
그것이 때로는 엄청난 파국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이러한 선택의 자유는 명백한 인간만의 특권이다.
다만 안타까운 건 여전히 베스트셀러 언저리만을 돌고 있는 내 책 읽기의 편협함이다.
많이 깊이 읽어야 선택의 범위도 넓어질텐데
어제도 어렵게 어렵게 얻은 두어시간의 자유시간을 쏟아부은 터라...
이제 다시 책을 읽어야겠다.
많이 보다는 깊이...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청, 살아가고 소통하는 수많은 방법 중 하나에 대한 이야기 (472) | 2008.04.07 |
---|---|
'시크릿'의 비밀 (308) | 2008.04.07 |
더 내려놓음 (286) | 2007.12.10 |
샘에게 보내는 편지 (0) | 2007.10.04 |
두나's 도쿄놀이 (0)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