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황장애

습작 2008. 4. 17. 23:49

의사는 묵묵히 그의 얘기를 들어주었다. 기다리고 있는 환자의 인기척이 분명히 있었음에도 그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밖에 있는 간호사와는 컴퓨터를 통해, 그것도 약간의 곁눈질과 마우스 클릭으로 이 상황이 통제되고 있는 것 같았다. 의사는 아마도 이 환자에게 있어 첫 공식적인 진단이 줄 충격을 완화시킬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인지도 몰랐다. 그러나 몇 가지의 질문을 통해 그는 자신이 예상하고 있던 병명이 맞다는 사실을 확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적인 위험이 없는 데도 몸이 먼저 반응하는 이 신기한 병, 혹은 증상이 과연 어떠한 이유로 그의 몸에 자리 잡게 되었는지에 관해 의사에게 장황하게 설명하고 있는 참이었다.

두려움과 공포, 그것들이 이제는 몸 밖으로 나오려 하고 있었다. 그것들이 그의 몸 곳곳에 수 없이 많은 안테나를 세워두고서 몸 안과 몸 밖의 모든 신호들을 필요이상으로 과다하게 수신하고 있었다. 공황장애는 그런 병이었다. 대개의 경우 단순한 어지럼증 정도로 시작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죽거나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을 것 같은 공포감과 함께 멀쩡해 보이는 사람들을 찾아가는 병이었다. 그리고 이것을 공황발작이라고 불렀다.

몇달 전 그에게 이러한 증상이 찾아왔었다. 피곤한 하루 일을 마치고 퇴근하던 지하철 안이었다. 갑자기 숨 막힐 듯한 공포와 어지러움이 그를 엄습해왔다. 너무도 갑작스러웠기 때문에 그는 지하철 문이 열리자마자 일단 열차를 빠져나와 계단을 뛰어오르기 시작했다. 지하의 탁한 공기가 마치 그의 목을 옥죄는 듯 한 공포감을 불러오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초가을의 찬바람이 지나다니는 차들과 함께 가볍게 요동치는 지상으로 빠져나왔을 때도 그의 심장은 가쁘게 뛰고 있었다. 좀체 안정이 되질 않았다. 그는 가까운 약국에 가서 증세를 설명했고 약사는 이런 경우가 처음이 아닌 듯 익숙하고 확신에 찬 손놀림으로 병으로 된 약 하나를 꺼내주었다. 액체로 된 우황청심원이었다. 그리고 그제서야 안정이 되었다. 그러나 그 공포감은 쉬 사라지지 않았다. 온갖 생각과 걱정이 텅 빈 머리와 가슴속으로 다시 밀려들었다. 앉아 있어도 누워 있어도 세상이 흔들렸다. 아니 내 머리가 실제로 흔들리는지도 몰랐다. 그것도 아니면 몸 전체가 중심을 못잡고 있는 것처럼도 여겨졌다. 그것은 곧장 불안감으로 이어져 그야말로 좌불안석 안절부절 의자위에서 들썩거렸다. 그는 공황장애에 대해 설명한 인터넷 사전의 설명을 떠올렸다.

공황장애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종의 투쟁·도피반응이다. 문제는 실제적인 위험대상이 없는 데도 몸이 먼저 반응한다는 데 있다. 죽거나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을 것 같은 공포감이 동반된다. 대개 공황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갑자기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에 대해 무슨 큰 일이라도 일어날 것 같은 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비교적 높은 유병률, 만성적인 경향, 재발, 삶의 질과 사회적 기능의 장애, 내과적 질환에까지 이환될 가능성의 증가, 자살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그가 공황장애가 맞죠?라고 물었을 때 의사는 신경정신과 의사로써 당연히 갖추고 있어야할 예의 그 훈련의 미소를 띠며 고개를 끄덕였다. 아마 의사는 인터넷의 온갖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그것도 관련 카페 동호회에 가입하고 그것도 모자라 친구의사에게 그 병에 관한 모든 정보를 샅샅히 훑고 왔을 환자의 이력을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익히 짐작하고 있을 것이었다. 그리고 이 무분별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의사란 단순히 예정된 약의 처방을 근엄하게 지시하는 역할만을 해야 하는가라는 약간의 짜증이 났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래서 그는 최대한 의사가 불쾌하지 않을 정도의 확인만 거치고 그 후로는 의사의 진단과 조언에 집중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러한 대응이 효과가 있었는지 의사는 사람의 온갖 장기로 연결된 전문적인 뇌의 그림을 그에게 펼쳐 보이며 이 공황장애란 병이 가진 비밀 아닌 비밀을 익숙하게 풀어 설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용은 이 병원에 오기까지의 여러 가지 학습을 통해 섭렵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혹시 자신의 표정에 잠깐이라도 지루함이 내비칠까 신경을 써야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럴 때 의사는 또 어떤 질문을 할 수 있을까?

“공황장애란 자신의 위험을 항시적인 긴장을 통해 인지해야만 했던 원시시대의 동물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공황장애가 음식을 먹을 때 특히 심해지는 것도 이런 이유때문이죠.”
그는 식사할 때마다 유난스럽게 주위가 흔들렸던 경험을 떠올리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하면서 그럴 필요가 없어졌죠. 안전해진 겁니다. 그래서 위험을 인지하는 안테나의 숫자가 줄
어든 겁니다. 그러나 공황장애 환자는 다릅니다. 음식을 먹으면서도 항상 주변을 의식하며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야생의 동물들처럼 평상시에도 위험을 감지하는 안테나를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이 그리고 항상 켜두어야만 하는 겁니다. 이걸 전문용어로 교감신경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상태를 교감신경항상이라고 부르죠.  이 상태가 심해지면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는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인 ‘공황발작’이 발발합니다. 사실 보통 사람들도 일생의 한두번은 이러한 공황발작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상황에 이르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공황장애라고 부릅니다.”

의사는 이 말끝에 약간의 시차를 두고 환자의 눈을 살폈다. 그리고 이러한 의학적인 설명보다는 이 환자에 대한 좀 더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 우선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요즘 부쩍 늘어나는 이 병에 대한 임상적인 호기심이 토요일 오후의 나른함을 달래줄 것이라는 작은 기대도 있었다. 그는 들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것은 모든 정신과 치료의 기본 중의 기본이었다. 그는 대기 중인 환자를 돌려보낼 것을 지시하고 이 토요일 오후 마지막 환자에게로 다시 돌아 앉았다.

'습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두려움에 대하여  (334) 2008.04.17
2. 질식  (163) 2008.04.17
풍족하지 않더라도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게 하라  (487) 2008.01.30
'말을 아끼라'는 말의 의미  (2) 2007.10.04
플루토 Pluto 2  (2) 2006.12.21
Posted by 박요철
,